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어서오세요, 휴남동서점입니다> 책숲사이  인상깊은 구절들

 

 

구룬파 KIm

 


01서점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영주의 마음이 일터를 반긴다. 영주는 몸의 모든 감각이 이곳을 편안해함을 느낀다. 그녀는 더 이상 의지나 열정 같은 말에서 의미를 찾지 않기로 했다. 그녀가 기대야 하는 건 자기 자신을 몰아붙이기 위해 반복해서 되뇌던 이런 말들이 아니라, 몸의 감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그녀가 어느 공간을 좋아한다는 건 이런 의미가 되었다.

몸이 그 공간을 긍정하는가. 그 공간에선 나 자신으로 존재하고 있는가.

그 공간에선 내가 나를 소외시키지 않는가. 그 공간에선 내가 나를 아끼고 사랑하는가. 이곳, 이 서점이, 영주에겐 그런 공간이다(p.10)

 

영국 그룹 킨Keane 의 앨범 <호프스 앤드 피어스 Hopes And Fears> 2004년 발매 https://youtu.be/zZ171q37yo8 (영주가 서점에 트는 음악)

 

예전에 하루를 완벽히 통제하고 싶어 메모를 했다면,

지금을 마음을 차분히 가라 앉히기 위해 메모를 한다.

해야 할 일을 우선순위에 따라 읽고 나면

오늘 하루도 잘 보낼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든다.


02이제 더는 울지 않아도 된다

 

휴남동 가정집들 사이에 휴남동 서점이 문을 열었다.

서점은 아픈 동물처럼 숨을 헐떡이며 기운을 차리지 못했다.

서점이 뿜어내는 은은한 분위기가 동네 사람들을 끌어들였지만,

이내 발걸음이 줄었다.

몸 속에 피가 한 방울도 남아 있지 않은 사람처럼 하얗게 앉아있는 영주 때문이었다.

(p.14)

 

영주의 웃음이 꾸민 웃음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보는 사람들은 있었다.

민철엄마였다.

가게 사장이 그러고 앉아 있는데 사람들이 오긴 하겠어?

책 파는 것도 다 장산데 고상하게 앉아 있기만 해서 어떡해?

돈 버는 게 어디 그리 쉬운 줄 알아?”(p.14)

 

예쁜얼굴, 화려하게 차려입음, 일주일 2번씩 문화센터서 중국어와 드로잉을 배움

끝나면 집으로 가는 길 항상 서점에 들러 영주의 안색을 살핌.

 

그러고보면 나도 그랬던 적이 있어. 한없이 몸이 꺼지더라고.

기운도 없고, 민철이 낳고 한동안 병자처럼 살았던 것 같다.

그런데 몸이 아픈 건 이해가 가는데, 마음이 왜 아픈지를 모르겠는 거야.

지금와서 생각해 보면 우울증이었던 것같아

(p.15-16 민철엄마의 대화)

 

영주는 어느 날 문득 자기가 더는 울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더는 울지 않아도 생각하자 홀가분했다.

맥없이 앉아 있는 나날도 서서히 지나갔다.

아침에 일어나면 어제보다 더 기운이 났다

하지만 당장 서점을 위해 뭔가를 할 마음은 나지 않았다.

대신 열렬히 책을 읽었다.(p.16-17)


03오늘 커피는 무슨 맛이에요?

 

 

민준은 바로 앞 매데에서 책을 하나 꺼내 들었다.

손바닥 크기만 한 메모장이 책갈피처럼 꽂혀 있었다.

한 사람은 결국 하나의 섬이 아닐까 생각해요.

섬처럼 혼자고, 섬처럼 외롭다고요.

혼자라서, 외로워서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도

생각해요, 혼자라서 자유로울 수 있고, 외로워서 깊어질 수 있으니까요...’

 

민준은 메모장을 원래대로 다시 꽂고 책 제목을 확인했다.

고슴도치의 우아함이라고 적혀있었다.(p.21-22)

 

일하려면 충분히 쉬어야 하고, 쉬더라도 돈은 일정 금액 이상을 받아야 생활이 가능하잖아요영주의 말을 듣고 민준은 계약서를 다시 읽어봤다. 5, 하루 여덟 시간, 시간당 12천원 알바비를 정한 것이다. (p.26)

 


04떠나온 사람들의 이야기

 

 

서점 오픈 전까지 영주는 소설을 읽는다. 소설은 영주를 자신만의 정서에서 벗어나 타인의 정서에 다가가게 해줘서 좋다. 소설 속 인물이 비통해하면 따라 비통해하고, 고통스러워하면 따라 고통스러워하고, 비장하면 따라 비장하게 된다. 타인의 정서를 흠뻑 받아들이고 나서 책을 덮으며 이 세상 누구든 이해할 수 있을 것같다.(p.29)

 

요 며칠 영주가 읽고 있는 소설은 모니카 마론의 슬픈 짐승이다. 소설의 주인공은 정말이지 철저히 떠나온 여자였다.(p.29)

 

영주가 스스로 생각해낸 답이 지금 이 순간의 정답이다. 영주는 정답을 안고 살아가며, 부딪치며, 실험하는 것이 인생이라는 걸 안다. 그러다 지금껏 품어왔던 정답이 실은 오답이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이 온다. 그러면 다시 또 다른 정답을 안고 살아가는 것이 평범한 우리의 인생, 그러므로 우리의 인생 안에서 정답은 계속 바뀐다.(p.32)